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평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고상미

청산리() 벽계수()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一到) 창해(蒼海)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 할 때 쉬어간들 (어떠리) ; 깊은 산속의 푸른 물 一到蒼海; 한번 푸른 바다로 흘러가면

평시조 (平時調) '청산리 (靑山裏) 벽계수 (碧溪水)야' 조일하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평시조 (平時調) '청산리 (靑山裏) 벽계수 (碧溪水) 야' 조일하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청산에 흐르는 푸른 시냇물아, 빨리 흘러가는 것을 자랑하지 마라. 한번 넓은 바다에 이르면 다시 돌아오기 어려운데, 밝은 달빛이 빈 산에 가득 비치고 있으니 잠시 쉬어 간들 어떠하겠는가.

청산리 벽계수야 (feat.농담 nongdam) 재클린 라미레즈 Jacklin Ramirez

청산리() 벽계수()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一到滄海)하면 다시오기 어려우니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청산리 벽계수야 (시인: 황진이) 박소연

청산리() 벽계수(l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一到滄海)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 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황진이

신(新)창부가락 경성구락부(NiNE ROCKER’z CLUB)

청산리() 벽계수()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一到滄海) 허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나나나나 산이로구나 아니 놀고 뭘할소냐 나나나나 산이로구나 아니 놀고 뭘할소냐 지척동방(咫尺洞房) 천리(千里)되어 바라보기 막연(漠然)쿠나 은하작교(銀河鵲橋)가 콱무너졌으니 건너갈길이 막연(漠然

평시조 (平時調) - 청산리 (靑山裏) 벽계수 (碧溪水)야 일헌 김무형

She said everything grey will turn out straight I say I know it's a pray I just want us to be together You said all the trees will lose their leaves I just think it's a relief that all the nature f...

평시조(平時調) 전진경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하리)

여창 (女唱) 지름시조 (지름時調) '청조 (靑鳥) 야' 조일하

청조야 오도고야 반가웁다 임의 소식 약수삼천리를 네어이 건너온다 우린님 만단정회를 네다알가 (하노라) 아아, 반가워라. 임금님의 소식이 왔구나. 기약 없는 귀양길에서 내 어이 살아 돌아올 수 있었던고, 우리 임금님 깊으신 정과 회포를 나는 다 알고도 남음이 있다.

여창 (女唱) 지름시조 (지름 時調) '청조 (靑鳥)야' 조일하

청조야 오도고야 반가웁다 임의 소식 약수삼천리를 네어이 건너온다 우린님 만단정회를 네다알가

우조 (羽調) 평시조 '월정명 (月正明)' 조일하

월정명 월정명커늘 배를 저어 추강에 나니 물 아래 하늘이요 하늘 가운데 명월이라 선동아 잠긴달 건져라 완월장취 (하리라) 달이 밝다 하기에 배를 타고 추강에 내려가니 물 가운데 하늘이요 하늘가운데 밝은 달이로다 선동아 저 달을 건져다오 달을 벗 삼아 오래도록 취하리라

평시조 국악

초장 :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중장 :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종장 :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청산도 국악

계면조 계락(界面調 界樂) 청산도 1장 : 청산()도 절로절로 2장 : 녹수(綠)라도 절로절로 3장 : 산() 절로절로 수() 절로절로 산수간(間)에 나도 절로절로 4장 : 우리도 5장 : 절로절로 자란몸이니 늙기도 절로절로 늙이리라

流水 呂宏望

呂宏望 - Classics Of Gu Qin(04) 01.陽關三迭 02.沙落雁 03.流 04.漁樵問答 05.鳥夜啼 06.瀟湘雲 07.鷗鷺忘機 08.澗流泉 09.關月 10.懷古 11.雙鶴聽泉 12.玉樹臨風 13.梅花三弄 

엮음 지름시조 (時調) '창 (窓) 내고자' 조일하

창내고자 창내고자 이내 가삼에 창내고자 광창이나 들창이나 벼락다지 미다 지나 쌍창이나 열장자 밀장자 가루장자 세루장자 돌철접은 걸 분합 암돌 저귀 숫돌 저귀를 맞춰 걸쇠 배목 고리 사슬 박을 설주에다 뿌리긴 박옷을 대고 크나큰 장도리로 땅뚱 땅뚱 눌러박아 이내 가슴에 창내여고자 두었다 임생각나서 가삼이 답답 하올적에 여닫쳐나 볼까 (하노매라) 창 내...

엮음 지름시조 (時調) '창 (窓)내고자' 조일하

창내고자 창내고자 이내 가삼에 창내고자 광창이나 들창이나 벼락다지 미다 지나 쌍창이나 열장자 밀장자 가루장자 세루장자 돌철접은 걸 분합 암돌 저귀 숫돌 저귀를 맞춰 걸쇠 배목 고리 사슬 박을 설주에다 뿌리긴 박옷을 대고 크나큰 장도리로 땅뚱 땅뚱 눌러박아 이내 가슴에 창내여고자 두었다 임생각나서 가삼이 답답 하올적에 여닫쳐나 볼까

평시조 - 청산리 벽계수야 변종혁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하리)

平沙落雁 呂宏望

呂宏望 - Classics Of Gu Qin(04) 01.陽關三迭 02.沙落雁 03.流 04.漁樵問答 05.鳥夜啼 06.瀟湘雲 07.鷗鷺忘機 08.澗流泉 09.關月 10.懷古 11.雙鶴聽泉 12.玉樹臨風 13.梅花三弄 

노랫가락 최창남

(蒼海 茫茫 萬里)로되 깊고 얕음을 알건마는 사람의 조석변 (朝夕變)이야 알 길이 없네 울 밑에 벽오동 (梧桐) 심어 봉황 (鳳凰)을 보쟀더니 봉황은 제 아니 오고 날아드느니 오작 (烏鵲)이로다 동자 (童子) 저 오작 쫓아라 봉황이 앉게 간주중 한 평생 허덕이면서 남은 것이 그 무엇이냐 담소화락 (談笑和樂) 엄벙덤벙 매양일 줄만 알았더니

問流水 嵐依風

走過那旁 看見那流緩緩  我曾駐足問流 為何歲月不復返  走過那間橋畔 聽見那流噹噹  我曾駐足問流為何青春不久長 流呀 流呀 你歷盡滄桑  你可告訴我 少年的光為什麼這樣短暫  老去的年華用什麼來補償

摘下滿天星 鄭少秋

漫漫長路遠冷冷幽夢淸 雪一片淸靜 可笑我在獨行要找天邊的星 有我美夢作伴不怕伶仃 冷眼看世間情 萬獨行找我登天路徑 讓我實現一生的抱負 摘下夢中滿天星 崎嶇的少年 抬頭來向天深處笑一聲 我要發誓把美麗擁抱 摘下閃閃滿天星 俗世翩翩少年歌一曲 把心聲寫給聽 漫漫長路遠冷冷幽夢淸 雪一片淸靜

陽關三迭 呂宏望

呂宏望 - Classics Of Gu Qin(04) 01.陽關三迭 02.沙落雁 03.流 04.漁樵問答 05.鳥夜啼 06.瀟湘雲 07.鷗鷺忘機 08.澗流泉 09.關月 10.懷古 11.雙鶴聽泉 12.玉樹臨風 13.梅花三弄 

漁樵問答 呂宏望

呂宏望 - Classics Of Gu Qin(04) 01.陽關三迭 02.沙落雁 03.流 04.漁樵問答 05.鳥夜啼 06.瀟湘雲 07.鷗鷺忘機 08.澗流泉 09.關月 10.懷古 11.雙鶴聽泉 12.玉樹臨風 13.梅花三弄 

望天门山 (唐·李白) 儿歌多多

天门中断楚江开,东流至此回。 两岸青相对出,孤帆一片日边来。 望天门[唐]李白 天门中断楚江开,东流至此回。 两岸青相对出,孤帆一片日边来。 天门中断楚江开,东流至此回。 天门中断楚江开,东流至此回。 两岸青相对出,孤帆一片日边来。 两岸青相对出,孤帆一片日边来。 天门中断楚江开,东流至此回。 两岸青相对出,孤帆一片日边来。

우시조 (羽時調) - 나비야 일헌 김무형

나비야, 청산()가자, 범나비 너도 가자. 가다가 저물어든, 꽃에 들어 자고 가자. 꽃에서 푸대접(待接)하거든, 잎에서나 자고 가자.

향산록 곽동현

천지가 개벽(開闢)하고 산천(川)이 생겼으니 오악(五嶽)은 조종(祖宗)이요 사해(四海)는 근원(根源)이라 백두산 일지맥(一支脈)이 동으로 흘러 내려 묘향산(妙香)이 되었으니 북방(北方)에 제일이라 일국지명산(一國之名)이요 제불지대찰(諸佛之大刹)이라 평생에 먹은 마음 향산(香)보자 원이더니 춘삼월(春三月) 호시절(好節)에 친구 벗과 기약하고 행장(行裝

각시조 (刻時調) - 봉황대상 (鳳凰臺上)에 일헌 김무형

봉황대상(鳳凰臺上)에 봉황유(鳳凰)러니 봉은 가고 대(臺)는 비었는데 흐르난 이 강수(江)로고나. 오궁 화초(吳宮花草)는 매유경(埋幽徑)이요, 진대의관 성고구(晋代衣冠成古邱)라. 삼산(三)은 반락(反落의 청천외(天外)요, 이수중분 백로주(二中分白鷺洲)로다. 총위부운 능폐일(總爲浮雲能蔽日)하니, 장안(長安)을 불견(不見) 사인수(使人愁)를.

남창가곡 평조(平調) 우편(羽編) (봉황대상 봉황유러니) 예찬건

삼산(三)은 반락청천외(半落天外)요, 이수중분 백로주(二中分 白鷺洲)로다.(삼산은 푸른 하늘 밖으로 반쯤 걸렸고, 이수는 백로주에서 가운데로 나뉘었네.) 4장 : 총위부운 능폐일(摠爲浮雲 能蔽日)하니, (뜬구름이 해를 모두 가렸으니,) 5장 : 장안(長安)을 불견(不見) 사인수(使人愁)를 하더라. (장안은 보이지 않고 사람을 근심케 하는구나.)

편시춘(片時春) 임방울

군불견(君不見) 동원도리편시춘(東園挑梨片春) 창가소부(娼家少婦) 말을 듣소. 대장부 평생 사업 연년(年年)이 넘어가니 동류수(東流) 구비구비, 물결은 바삐바삐, 백천(百川)은 동도해(東到海)요. 하시부서귀(何復西歸)라.

Gao Shan Jing (Live in Hong Kong / 1982) 鄧麗君(등려군)

青 涧蓝 阿里的姑娘美如呀 阿里的少年壮如 啊 啊 阿里的姑娘美呀美个漂亮 只有我邓丽君最漂亮 高常青 涧常蓝 姑娘和那少年永不分呀 常围着青

시창(詩唱) '십이난간 벽옥대 (十二欄干 碧玉臺)' 조일하

십이난간벽옥대 대영춘색이 경중개를 녹파담담무심천 백조쌍쌍자거래를 만리귀선운외적 사시유자월중배를 동비황학이 지오의 하야 호상배회고불최라 열두 난간 아름다운 누대에 오르니 바닷가 봄빛 경포대에 떠 있다 잔잔한 연두 빛 물결 깊이를 알 수 없는데 흰 새들은 짝지어 오락가락 만릿길 돌아가는 신선 구름너머 젓대소리 들리고 늘 떠도는 이 내 술잔에는 달이 잠겨 ...

시창 (詩唱) '십이난간 벽옥대 (十二欄干 碧玉臺)' 조일하

십이난간벽옥대 대영춘색이 경중개를 녹파담담무심천 백조쌍쌍자거래를 만리귀선운외적 사시유자월중배를 동비황학이 지오의 하야 호상배회 고불최라

小村之戀 鄧麗君

彎彎的小河 岡 依偎着小村莊 藍藍的天空 陣陣的花香 怎不叫人爲你向往 啊問故鄕 問故鄕別來是否無恙 我常地想念你 我願意我願意 回到你身旁 回到你身旁 美麗的村莊 美麗的風光 你常出現我的夢鄕 [白]在夢, 我又回到難忘的故鄕, 那彎彎的小河

평시조 (平時調) - 이화 (梨花)에 월백 (月白) 일헌 김무형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이 삼경(三更)인제 일지 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가사 (歌詞) 수양산가 (首陽山歌) 조일하

수양산에 고사리를 걱어 위수빈의 고기를 낚아 의적의 빚은 술 이태백 밝은 달이 등왕각 높은 집에 장건이 승상허고 달구경가는 말명을 청허자 바람불고 눈비 오랴는가 동녘을 바라보니 자미봉 자각봉 자청청 밝은 달이 벽솔 백운이 층층 방곡이 절로 검어 휜들 휘휜들 네로니 네로노느니 나네헤니루허고 나루니루허고 네로나니 나루나루니루허고 네루레니 느니나노 느흐...

양산도 김광숙

양산도 - 김광숙 에헤이예 양덕 맹산 (陽德 孟) 흐르는 물은 감돌아 든다고 부벽루하 (浮樓下)로다 삼산 (三)은 반락 (半落)에 모란봉이요 이수중분 (二中分)에 능라도로다 에헤이예 이 골물이 콰콸콸 석수 (石)가 변하는 소리지 양인 (兩人)의 정리 (情理) 변할 소냐 아서라 말어라 네 그리 마라 사람의 괄세를 네 그리 마라 간주중

여창가곡 (女唱歌曲) 우조 (羽調) 우락(羽樂) '바람은' 조일하

바람은 지동치듯 불고 구진 비는 붓듯이 온다 눈 정에 거룬님을 오날 밤 서로 만나자 하고 판첩쳐서 맹세 받았더니 이 풍우 중에 제 어이 오리 진실로 오기 곧 오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바람은 땅이 흔들리듯 불고 구진비는 붓듯이 온다. 눈빛으로 맺은 님을 오늘 밤 서로 만나자 하고 굳은 맹세 받았더니 이 비바람 속에 그대 어이 오겠는가 진실로 이 빗속을...

여창가곡 (女唱歌曲) 우조 (羽調) 우락 (羽樂) '바람은' 조일하

바람은 지동치듯 불고 구진 비는 붓듯이 온다 눈 정에 거룬님을 오날 밤 서로 만나자 하고 판첩쳐서 맹세 받았더니 이 풍우 중에 제 어이 오리 진실로 오기 곧 오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양산도 고주랑

양산도 - 고주랑 에헤이예~ 양덕 맹산 (陽德 孟) 흐르는 물은 감돌아 든다고 부벽루하 (浮樓下)로다 삼산 (三)은 반락 (半落)에 모란봉이요 이수중분 (二中分)에 능라도로다 에헤이예~ 무심한 저 달이 구름 밖에 나더니 공연한 심사를 산란케 한다 일락 (日落)은 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령 (月出東嶺)에 달 솟아 온다 간주중 에라

편시춘 한농선

편시춘 - 한농선 아서라 세상사 쓸 곳 없다 군불견 (君不見) 동원도리편시춘 (東園桃李片春) 창가소부 (娼家小婦) 웃들 마소 대장부 평생사업 건연히 넘어 가니 동유수 (東流) 굽이굽이 물결은 바삐 바삐 백천 (百川)이 동도해 (東到海)하니 하시 (何)에 부서귀 (復西歸)라 우산 (牛)에 지는 해는 제경공 (齊景公)의 눈물이오 분수의

청계상(봄에) 국악

둘째바탕 평조 중거(調 中擧) 청계상 1장 : 청계상(淸上) 초당외(草堂外)에 2장 : 봄은 어이 느졌는고 3장 : 이화(梨花) 백설향(白雪香)에 유색황금눈(柳色黃金嫩)이로다 4장 : 만학운(萬壑雲) 5장 : 촉백성중(蜀魄聲中)에 춘사(春事) 망연(茫然) 하여라

시창 (詩唱) 관산융마 (關山戎馬) '추강 (秋江) 이' 조일하

추강이 적막 어룡냉허니 인재 서풍 중선루를 매화만국 청모적이요 도죽잔년 수백구를 가을 강이 쓸쓸하고 외로우니 물고기들도 차갑고 한 사내가 서풍이 부는 중선루에 올랐다. 매화꽃이 만발하던 때 들려오는데 도죽장(지팡이)짚고 남은여생 동안 갈매기를 따르는 구나.

시창 (詩唱) 관산융마 (關山戎馬) '추강 (秋江)이' 조일하

추강이 적막 어룡냉허니 인재 서풍 중선루를 매화만국 청모적이요 도죽잔년 수백구를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조일하

모란은 화중왕이요 향일화는 충신이로다 연화는 군자요 행화소인이라 국화는 은일사요 매화 한사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는 소년이라 규화무당이요 해당화는 창녀이로다 이 중에 이화시객이요 홍도벽도 삼색화는 풍류랑인가 하노라 모란은 꽃 중의 으뜸이요 해바라기는 임금을 따르는 신하로다. 연꽃은 군자요 살구꽃은 소인배라. 국화는 한가히 숨어 지내는 선비요 매화는...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조일하

모란은 화중왕이요 향일화는 충신이로다 연화는 군자요 행화소인이라 국화는 은일사요 매화 한사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는 소년이라 규화무당이요 해당화는 창녀이로다 이 중에 이화시객이요 홍도벽도 삼색화는 풍류랑인가 하노라

夜逍遙 黃綺加

多逍遙 共你中飄 點點星光照 月掛千里遙 為了誰照耀 一片波輕烟飄渺是夢調傳來歌聲 風飄 看你眼角輕帶一絲淺笑 這晚像夢像幻太微妙難料 飄到靜悄的小橋 共醉此深宵 彼此雙看笑 靜聽江潮 浪似琴韻妙 隱約幾聲蟋蟀低叫浪漫有情調微微幽香風飄 看你眼角輕帶一絲淺笑 這晚像夢像幻太微妙難料

남창지름시조 '바람도 쉬여를 넘고' 고상미

바람도 쉬어를 넘고 구름이라도 쉬여 넘는 고개 산지니(陣) 수지니(陣) 해동청(海東) 보라매라도 다 쉬여 넘는 고개 그 넘어 님이 왔다 허면 나는 한 번도 아니 쉬여 넘으리라 陣; 산속에서 자라 오랜 해를 묵은 매 陣; 길들인 매 海東; 송골매 보라매; 생후 한 달 미만의 새끼를 잡아 길들인 매

수양산가 (首陽山歌) 고상미

수양산(首陽)의 고사리를 꺽어 위수빈(渭濱)의 고기를 낚아 의적(儀狄)의 빚은 술 이태백(李太白) 밝은 달이 등왕각(藤王閣) 높은 집에 장건(張騫)이 승상(乘槎)허고 달구경 가는 말명을 청허자 바람불고 눈비오랴는가 동녁을 바라보니 자미봉자각봉(紫微峯紫閣峯) 청청(淸淸)밝은 달이 벽소백운(宵白雲)이 층층방곡(層層坊曲)이 절로 검어 휜들 휘휜들

&*** 벽계수***& 단하나

벽~ 계수야 울~ 지를 마라 님을 보라 달이 뜨는 그 밤에 두리 둥실 달이 떠도 사랑을 못하고 울고 있는 벽 계 수야 그 좋은 세~월을 어이 하고서 항~ 진이 그님을 어이 하고서 손에든 술잔 노을 줄을 모르나 아~하아 달을 보고 우는 남자야 사랑을 잃은 벽 ~ 계 수야 벽~ 계수야 울~ 지를 마라 님을 보자 꽃이 피는 이 밤에 천하 제일 꽃을 보고 ...

宝安记 音阙诗听 외 2명

宝安人渔为业 对东涌歌一阕 世代沟海野 新人看秦时夜 倏然桴筏摇曳 冰轮化作血月 以橹欲穷此劫 得见时间穿越 夜有光 能使海岸辉煌 顶白房几幢 观群星之象 入城邦 广厦高耸堂皇 有甚者达霄汉 人忙来与往 兹奇迹谓汤汤 绮丽谓茫茫 洗明晃晃 利益仍攘攘 终于新城换渔港 上载宝巾破迷障 人人有业家有粮 病无殇 斯记起当泱泱 旖旎盼常常 地留故庄 霁兮风洋洋 无须天助地生养 我自为我铸骄阳 天堑架桥通汪洋